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립/1억 모으기

자산정보 / 돈의 흐름 파악하기

by 고코샤넬 2021. 1. 20.
728x90

일단 돈을 잘 모으기 위해서는 소비 통제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돈의 흐름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얼마만큼의 수입이 있고, 내가 가지고 있는 현자산의 크기를 잘 알고 이를 꾸준히 기록하면 점점 돈을 모아갈 때 더 쉽게 자금의 흐름 파악을 할 수 있다. 단순히 최종금액만 보고 "이만큼 모았구나!"라는 생각만 가지고 큰돈을 모으기는 힘이 들다. 만약 월 수입의 단위가 클 경우에는 단기간에 큰돈을 모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쳐 종잣돈을 모아야 하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가시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내가 자산내역을 정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엑셀 파일을 예시로 들어보았다. 자산내역은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1. 순자산 내역: 이 부분에는 본인이 소유한 은행 예금, 부동산, 금/은, 주식, 그리고 부채(은행 대출 등)에 대한 내역을 정리한다.  

2. 자산의 흐름 : 본인이 매달 벌어들이는 실수령액(월급-세금)과 매달 고정지출, 그리고 고정적인 분산투자(예적금 및 펀드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그럼 이제 각 부분에 대해 세부적인 내용들을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지 알아보자.


Part 1. 순자산 플러스 내역 Assets

  • Deposits : 본인이 가지고 있는 계좌의 목록을 만들고 현 계좌에 들어있는 금액을 매월 월말에 정리하여 넣으면 순자산을 파악하기 편하다.
  • Financial instrument : 만약 주식이나 ETF, 펀드 등에 투자한 자산이 있다면 그때의 자산가치를 적어 넣으면 된다.
  • Real estate : 본인이 가지고 있는 부동산에 대한 현재가치를 정리해서 넣으면 된다. 매번 상세하게 조사하기 힘들다면 구입가 ± x로 라도 적어 놓자
  • Digital assets : 요즘 핫한 비트코인! 혹은 유사한 것 등을 정리해서 넣으면 된다.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없다면 그냥 0으로 놓으면 된다. 
  • Commodities : 금, 은, 물, 등등 본인이 현물로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채권으로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데 이 내용 또한 까먹지 말고 잘 정리해 놓자.
  • Objects of value : 이 항목에는 비싼 귀금속이나, 자동차 같이 본인이 가지고 있는 현물 중 자산가치가 높은 것들을 정리해 놓으면 된다. 몇몇 항목들은 보통 그 가격이 유지되거나 희귀성 때문에 높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차와 같은 경우는 보통 시간이 지날수록 현물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분기별로 그 가치를 재설정 해주자.

Part 2. 순자산 마이너스 내역 Liabilities

순자산에 플러스 항목만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 이제 우리 순자산의 마이너스 부분을 알아보자

  • Consumer debt : 신용카드 사용같이 바로 돈이 빠져나가지 않는 경우는 부채로 기록하자. 보통 월말에 돈이 정산되므로 한 달 동안 사용한 금액을 적어서 소비하는 돈을 잘 체크하자
  • Real estate debt : 본인이 부동산을 대출을 끼고 산 것이라 하면, 매월 일정 금액의 대출상환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 또한 부채로 기록하자
  • Accrued taxes : 이는 부동산이나 추가 수입에 따른 추가세금에 대한 항목인데, 프리랜서가 아니라면 딱히 사용하지 않아도 될 항목이긴 하다.

총 순자산 (Total net worth)은 Assets의 총합 - Liabilities의 총합으로 계산 가능하다. 총순자산의 성장량 Growth는 전월 자산 대비 현월 자산의 차액의 퍼센트율% 를 계산하여, 총자산이 늘었는지 혹은 줄었는지 쉽게 파악 가능하다.


Part 3. 자산의 흐름 / 세후수입 Income (net) 

  • Full-time job : 본업이 있을 경우, 본업에서 발생하는 세후 수입을 기재한다.
  • Self-employment : 이는 본인이 부업으로 추가 수입이 있는 경우 기재한다. 이는 매월 동일할 수도 있고, 격차가 있을 수도 있는데 본인의 실정에 맞게 적으면 된다.
  • Others : 이는 고정수입이 아닌, 다른사람에게 빌려준 돈을 돌려받는 등 정확히 말하면 수입은 아니지만 현 본인 자산에 플러스 혹은 마이너스 요인을 적으면 된다.
  • Taxes : 독일에서는 특정 수준 이상의 소득이 있을 경우 소득의 40%의 세금을 내야 한다. Full-time job 항목의 경우 월급을 받을 때 이미 세금을 제한 세후 수입을 적은 것이기에 따로 소득에 대한 세금계산을 안 해도 되지만, Self-employment와 같이 프리랜서 항목은 총수입에 대한 40%의 세금이 계산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1500€ 의 40%인 600€를 세금 내역으로 잡았다.

Part 4. 자산의 흐름 / 반복고정지출 Recurring payment 

이 항목은 본인의 편의와 생활양식에 따라 더 세분화할 수도 있고, 간략화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우리가 흔히 숨만 쉬어도 지출되는 항목들을 정리해 놓았다. 집세, 교통비, 학비, 인터넷, 핸드폰 비용 등등이 포함되어 있다. 수입을 늘리지 못한다면, 이 고정지출 항목을 줄임으로서 우리는 조금 더 많은 돈을 빨리 모을 수 있을 것이다. 이 항목을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생각보다 우리의 소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나 또한 이들 중 불필요한 항목은 없는지 하나하나 잘 따져보는 시간을 가져야 할 듯 싶다.  


Part 5. 자산의 흐름 / 투자항목 Investments 

본인의 수입중 얼마 정도를 예적금 그리고 주식, 펀드를 위해 저금하고 투자할 것인지 기록하는 부분이다. 


자산의 흐름(Cashflow)은 Income의 총합 - (Recurring payment + Investments)의 총합으로 계산 가능하다. 자산의 흐름이 의미하는 바는, 내가 번 돈과 소비한 돈 그리고 투자한 돈의 차익으로 내가 이번 달에 유용 가능한 돈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를 본인이 원하면 쓸 수도 있고, 아니면 다음 달을 위해 저축을 할 수도 있다. 만약에 돈을 좀 더 빨리 모으고 싶다면 Cashflow를 다음 달 본인이 쓸 용돈 정도만 남기고 투자(Investments) 항목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것이 좋다.  


모든 자료는 본인의 자산내역을 바탕으로 그 구조를 짰지만, 세부 금액 사항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허구로 작성되었습니다. 위 표에서처럼 부업으로 돈 많이 벌 수 있으면 좋겠네요.. :) 제가 작성한 Excel 양식의 샘플 파일은 본글에서 다운로드하으 실 수 있습니다. 파일의 도용방지를 위해 비밀번호가 걸려 있으니, 파일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 남겨주시면 비밀 댓글로 비번 알려드릴게요~~ :) 이 자료가 다른 분들이 본인의 자산을 파악하고 돈을 모으는데 조금이나마 Motivation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 다같이 부자 돼요! 

Asset details_ Sample_Eng_v1.xlsx
0.03MB

곧 또 좋은 정보를 들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Dann Tschüss, bis demnächst. Auf Wiedersehen!

여러분의 댓글 공유, 공감은 많은 힘이 됩니다!